[송주희 기자의 About Stage]오프브로드웨이 “외곽이면 어때? 속 꽉 찬 공연이 있는데” -서울경제

[송주희 기자의 About Stage]오프브로드웨이 “외곽이면 어때? 속 꽉 찬 공연이 있는데”

 

공연메카 브로드웨이 외곽, 중소형극장 밀집한 ‘오프브로드웨이’,
‘오프-오프브로드웨이’
다양한 실험작 올려 중심가와 차별화
‘펀홈’ 등 오프 흥행 후 브로드웨이 입성, 토니상 수상작도
국내서도
속 꽉찬 작품으로 소극장 신화 이어지길

송주희기자ssong@sed.co.kr 

 

 

미국 뉴욕 브로드웨이 외곽에 위치한 ‘오프(off)
브로드웨이’ 대표 공연장 ‘비니어드 극장’은 신

진 작가의 실험적인 신작을 주로 무대에 올리며 차별화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사진=비니어드극장
홈페이지

 

 

 

시설 좋고 깨끗한 대형 마트도 있지만, 저렴하고 물건 좋은 재래시장도 있다. 세련된 진열도 없고 좁은 통로에 불편하지만, 이곳만의 맛에 빠져 즐겨 찾는 이도
많다.

공연 시장에서 ‘브로드웨이’가 대형 마트라면, ‘작은 브로드웨이’라고 불리는 오프 브로드웨이(off broadway),
오프-오프 브로드웨이(off-off broadway)는 재래시장에 비유할 수 있다. 오프 브로드웨이는 미국 뉴욕의 대표적인 공연 중심가인
브로드웨이의 외곽에, 오프-오프 브로드웨이는 이보다 더 변두리에 들어선 500석 미만의 중소형 극장가다. 브로드웨이가 작품 개발부터 제작,
공연에 이르기까지 대형 상업자본의 적극적인 개입으로 완성된다면, 오프와 오프-오프 브로드웨이는 상대적으로 적은 제작비로 좀 더 실험적인 작품을 많이 올린다.

성인 인형극 뮤지컬 ‘애비뉴 큐’는 2003년
오프브로드웨이에서 초연한 뒤 브로드웨이에 진출, 흥행에 성공한 소극장용 코믹 작품이다. 참신한 아이디어로 2004년 토니상 시상식에서 대규모
제작비를 쏟아 부은 대작들을 물리치고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했다./사진=애비뉴 큐 공식 홈페이지

 

 

‘싼 게 비지떡’이라는
생각은 금물이다. 돈 덜 쓰고 스타 배우 없다고 그 작품이 별 볼 일 없는 것은 아니다. 신진작가의 신작을 주로 올리는 오프 브로드웨이의
비니어드 극장은 1994년 에드워드 올비의 연극 ‘키 큰 세 여자’로 퓰리처상을 받았다. 이 작품은 지난해 국립극단에서 박정자·손숙·김수연 주연으로
공연되기도 했다. 2013년 한국 초연한 뮤지컬 ‘애비뉴 큐’도 2003년 비니어드에서 선보인 토니상 작품상 수상작이고, 지난해 토니상 시상식에서 최우수 뮤지컬상, 최우수 연출상 등 5개 부문을 석권한 뮤지컬 ‘펀 홈’
역시 오프 브로드웨이에서 흥행에 성공해 브로드웨이로 진출한 케이스다. 레즈비언 조앤이 가족에게 커밍아웃한 후 급작스럽게 아버지부고를 접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펀홈은 브로드웨이에서 처음으로 레즈비언을 주인공으로 등장시켰다. 과감한
‘실험 텃밭’이 없었다면 애초 이 작품이 공연의 메카에 서는 일은 없었을지도 모른다. 이 밖에 ‘사이 좋은 두 남자가 자신의 아들·딸을 결혼시키기 위해 벌이는
유쾌한 소동’을 그린 뮤지컬 ‘판타스틱스’는 1960~2002년 오프 브로드웨이의 설리반 스트리트 극장에서 42년간 1만 7,162회 공연했고,
올해로 30주년을 맞이한 스릴러 연극 ‘퍼펙트 크라임’ 역시 1만 회 넘게 공연 중인 오프의 대표 흥행작이다. 

30년간 오프 브로드웨이에서 1만 회 넘게 공연하며
관객의 사랑을 받은 연극 ‘퍼펙트 크라임.’ 캐서린 러셀(오른쪽)은 초연부터 30년째 주인공으로 무대에 오르고 있다./사진=퍼펙트 크라임 공식
홈페이지

 

 

한국 공연계에도 대형 마트와 재래시장이 공존하고 있다. 지리적인 개념보다는 ‘대형 제작사 작품’과 ‘대학로
소극장 공연’처럼 제작 주체가 이 둘을 가르는 기준이다. 무대든 캐스팅이든 돈 들인 만큼 때깔 좋은 작품에 끌릴
수도 있고, 소박하지만 실험적인 무대가 당길 수도 있다. 선택은 관객의 몫이지만, 아직 국내 공연시장에선 전자(前者)로의 쏠림이 지나친 게
사실이다. 물론 대학로에서도 실망을 안겨주는 작품이 많지만, 기발한 아이디어나 흡인력으로 관객을 끌어당기는 공연도 있다. 오프, 오프-오프 출신(?)의 속 꽉 찬 작품이 저마다의
명성으로 브로드웨이 전체를 살찌우듯 한국 공연시장에서도 소극장 신화, 실험 작의 발견이 이어지며 차별화된 콘텐츠의 텃밭이 될 필요가 있다. 좋은
작품, 그리고 이를 알아봐 주는 관객이 없으면 안 될 일. 여유 있게 대학로를 돌며 작지만 강한 연극·뮤지컬을 발굴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로맨틱 코미디가 아니어도 좋다. 

본 기사의 저작권은 서울경제신문사에 있습니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입력시간 : 2016/03/03 12:37:26   수정시간 :
2016/03/03 14:39:22

댓글 (0)
게시판 전체목록
제목
신입 워크숍, 아침구보 대신 아카펠라…'C 유전자' 키운다 -한국경제
  • 작성자 : 이하나
  • 작성일 : 2016.03.11
  • 조회수 : 3063
크라우드펀딩 활성화 위해 900억 쏜다 -서울경제
  • 작성자 : 이하나
  • 작성일 : 2016.03.11
  • 조회수 : 2627
[송주희 기자의 About Stage]오프브로드웨이 “외곽이면 어때? 속 꽉 찬 공연이 있는데” -서울경제
  • 작성자 : 이하나
  • 작성일 : 2016.03.04
  • 조회수 : 3284
"한 달 알바 뛰면 100만원, 실·팀장은 200~300만원"···대학로 삐끼의 증언 -중앙일보
  • 작성자 : 이하나
  • 작성일 : 2016.02.26
  • 조회수 : 3902
초·중·고생 70% 학교스포츠클럽 참여…학생·학부모 80% '만족' -한국경제
  • 작성자 : 이하나
  • 작성일 : 2016.02.26
  • 조회수 : 2487

패스워드 확인

X